취소
다음에 대한 결과 표시 
다음에 대한 검색 
다음을 의미합니까? 
cancel
183
VIEWS
0
Helpful
0
의견
socui
Cisco Employee
Cisco Employee
 
아래 내용은 Cisco Telepresence 장비 사용 시 터치 컨트롤러 이슈 관련 트러블슈팅 방법입니다.
 
터치 컨트롤러 유형:
Onscreen Touch/Touch10/Room Navigator
 
터치 컨트롤러 팩토리 리셋 방법:
 
Touch10
Mute 버튼을 약 10초 동안 누르고 있으면 빨간색으로 깜박입니다. 이 상태에서 볼륨 다운 버튼을 두 번 누릅니다.
Mute 버튼이 빨간색으로 고정되고 공장 초기화 상태로 재부팅 됩니다.
 
Room Navigator
터치 컨트롤러 후면부에 있는 리셋 홀 버턴을 핀으로 5초정도 누르고 있으면 공장 초기화 설정으로 재부팅 됩니다.
 
Common issue:

 

1.  부팅이 안될 경우
케이블 불량 혹은 전원 소스 (PoE power Injector, 스위치 PoE, 또는 코덱 전원) 이슈인지를  확인합니다
부팅 중 문제가 발생하면 터치 컨트롤러 팩토리 리셋을 시도합니다.  이슈 해소 안될 경우  RMA을 진행합니다.
 
2.  스크린 디스플레이 이슈
터치 스크린에 물리적인 데미지가 없는지 확인합니다. 스크린이나 외관적인 물리적 데미지는 RMA 계약이 적용되지 않으며 고객이 교체 비용을 부담해야 할 수 있습니다.  
스크린 디스플레이 이슈 즉 픽셀화, 데드 픽셀, 컬러 라인 등은 보장되며 이슈 증상에 따라 RMA가 가능합니다.
 
3.  페어링 이슈
페어링 시스템은 IPv6 link-local 통신을 기반으로 이루지기때문에 코덱과 터치 컨트롤러가 동일한 IP서브넷에 있어야 합니다.
기타 다른 네트워크 장비가 없이 직접 이더넷 케이블로 연결이 가능합니다.
코덱과  터치 컨트롤러사이 통신하는데 사용되는 link-local IPv6 주소는 장비MAC 주소로부터 계산되고 Discovery는 페어링 할 주변 장치의 MAC 주소를 찾는 과정입니다.
페어링 시작 시 코덱과 터치 컨트롤러 사이 각자 기본 정보를 서로 전송하고 페어링 성공 후 또한 정기적으로 서로간 핑을 보내어 연결 상태를 유지합니다.
 
다이렉트 연결
다수의 코덱 장비에 터치 컨트롤러를 이더넷 케이블로 직접 연결할 수 있습니다 (PoE포트가 지원이 안되는 코덱일 경우 가운데 PoE power injector가 필요함).
다이렉트 연결 지원 여부를 확인하려면 코덱 어드민 가이드 혹은 설치 가이드를 확인하십시오.
연결이 되면 터치 컨트롤러는 코덱과 버전 매칭 상태를 확인하고 매칭이 안될 경우 새로운 소프트웨어가 코덱에서 다운로드 되어 터치 컨트롤러에 설치됩니다. 업그레이드 후 터치 컨트롤러는 재시작 됩니다.
 
다음은 다이렉트 페어링 설정에서 이슈 확인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스왑 테스트를 진행합니다. 다른  정상 작동중인 터치 컨트롤러를 해당 코덱에 연결하거나 기존 터치 컨트롤러를 다른 코덱에 연결을 시도해서 터치 컨트롤러 자체 이슈가 맞는지 확인합니다. 
터치 컨트롤러 이슈로 확인이 될 경우 팩토리 리셋을 진행합니다.
이슈가 지속되면 코덱에 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하고 터치 컨트롤러에서  자동으로 새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 받아서 페어링이 되는지 확인합니다. 이슈 해소가 안될 경우  RMA을 진행합니다.
 
네트워크 연결
다이렉트 연결이 불가하거나 이더넷 케이블이 코덱에 닿지 않을 경우 코덱에 터치 컨트롤러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이 가능합니다.  
터치 컨트롤러는 이더넷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습니다.( PoE 스위치 또는 PoE power injector가 필요함 ).
PoE 가 지원되는 이더넷 케이블로 터치 컨트롤러를 벽 소켓이나 이더넷 스위치에 직접 연결할 수 있습니다. 안전을 위해 PoE 소스는 터치 컨트롤러와 같은 건물에 있어야 합니다.
 
다음은 네트워크 페어링 시 이슈 확인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방법입니다.
터치 컨트롤르를 코덱 터치 패널 포트에 다이렉트 연결해 보세요. 페어링이 정상적으로 이루어 질 경우 코덱과 터치 컨트롤러 간의 네트워크 연결성을 확인하고 터치 컨트롤러에 설정된 네트워크 구성을 확인하십시오.
코덱과 터치 컨트롤러 통신 시 사용되는 포트는 TCP 4043 – 4053입니다.
4053-처음 페어링 설정
4051-페어링 xapi 세션
4052- 로그 전달
4045- 버전 정보
4043-코덱에서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다이렉트 연결시에도 페어링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다이렉트 연결 시 트러블슈팅 단계를 참조 하십시오.
 
4.  터치 컨트롤러가 반응하지 않음
일반적인 터치 컨트롤러가 반응하지 않는 이슈는 아래 경우가 있습니다.
화면 일부가 작동하지 않는 증상
전체 터치가 작동하지 않는 증상
마이크 버튼이 작동하지 않는 증상
터치가 간헐적으로 멈추는 증상
케이블 불량 혹은 전원 소스 (POE, 스위치 POE, 또는 코덱 전원) 이슈인지를  확인합니다. 이슈가 지속적일 경우 터치 컨트롤러 팩토리 리셋을 합니다.
코덱에 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해서 터치 컨트롤러에서  자동으로 새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 받고 이슈가 해소되는지 확인합니다.
네트워크를 통해 페어링이 된 경우 코덱에 직접 연결해 보거나 그 반대로 진행해봅니다.  
터치 패널을 다른 코덱에 페어링을 시도해봅니다. 이슈 해소가 안될 경우  RMA을 진행합니다
 
5.  터치 컨트롤러 Crash:
코덱 crash 문제와 비슷하게 터치 컨트롤러도 crash 이슈를 겪을 수 있습니다. 케이블 불량 혹은 전원 소스 (POE, 스위치 POE, 또는 코덱 전원) 이슈인지를  확인합니다.
이슈가 지속되면 터치 패널을 공장 설정으로 리셋하고 터치 패널에 다른 소프트웨어를 실행해 보십시오.
 
위 스탭으로 이슈 확인이 안되거나 추가 트러블슈팅이 필요할 경우 Cisco TAC case를 오픈해서 지원받으실 것을 권장 드립니다.

 

시작하기

상단의 검색창에 키워드, 문구, 또는 질문을 입력하여 궁금한 내용을 찾아보세요.

이곳에서의 여러분의 여정이 훌륭하기를 바랍니다! 시스코 커뮤니티에 빠르게 익숙해지는 데 도움이 되는 몇 가지 링크를 준비했습니다.

빠른 링크